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워드프레스
- 워드프레스소개
- JavaScript
- html5
- 닷홈
- Wordpress
- 반응형홈페이지
- 워드프레스홈페이지제작
- MySQL
- 그누보드
- php
- Linux
- 병원홈페이지제작
- css3
- 웹호스팅
- 네이버웹마스터도구
- 플러그인설치방법
- 댕댕이
- 반응형웹
- 무료호스팅
- 기업홈페이지제작
- 워드프레스플러그인
- 자바스크립트
- jQuery
- 영카트
- 무료호스팅서버
- 반려견
- 카페24
- 제이쿼리
- 워드프레스란?
- Today
- Total
목록개발언어 (152)
pm1122dev의 비밀노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GbgA/btqVAIR4H34/WX5yC7pqi2nLDtK3IdKbC1/img.png)
리눅스 파일은 owner, group(소유주, 그룹)에 속해있습니다. chmod가 사용권한을 변경하는 것이라면 chown는 소유주 또는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 입니다. //기본사용방법 #chown [OPTIONS] USER[:GROUP] FILE(s) 소유주를 확인하려면 ls -al를 하면 아래처럼 나오는데 demo(owner) demo(group)으로 되어있습니다. //demo3폴더의 owner, group의 권한을 동시에 root로 변경 #chown root:root demo3 //소유주만, 그룹만 변경하는 방법 //소유주만 #chown root demo3 //그룹만 #chown :root demo3 //하위폴더까지 모두 변경하려면 #chown -R owner:group folder
자신의 창이 새창일 경우 opener를 사용하고 iframe의 경우는 parent를 사용합니다. 보통 매장검색이나 회원검색을 새창으로 만들어서 선택해서 데이터를 넣는 경우 사용합니다. 아래와 같은 새창이 있는 경우 선택을 눌러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 사용 no 아이디 선택 1 test [선택] 2 test [선택] //팝업창에서 넣어야되는 스크립트
nl2br ( string $string , bool $use_xhtml = true ) : string 줄바꿈 기호 \n를 태그로 변경해준다.
보통 click 이벤트는 $(id or class).on("click", function(){})으로 사용하는데 element가 동적으로 나중에 추가된 경우에는 이벤트가 적용되지 않는다. 그럴경우 아래와 같이 적용하면 적용된다. $(document).on("click", "클래스, 아이디", function(){ //이벤트 }) 근데 이럴경우 문제점이 하나 발생한다. 페이지 전환이나 새로고침이 지속될 수록 event의 발생되는 횟수가 증가 하게 된다. 클릭을 한번했는데 새로고침을 10번해버리면 10번의 이벤트가 중복되어 발생되는데 그럴땐 아래와 같이 이벤트를 추가해 주면 된다. $(document).on("click", "아이디, 클래스", function(e){ e.stopImmediatePropaga..